Essential Life

mbti 역사 MBTI 개발한 사람 누구 엠비티아이 만든 사람 누구 본문

MBTI

mbti 역사 MBTI 개발한 사람 누구 엠비티아이 만든 사람 누구

필요한사람 2022. 4. 7. 15:09
728x90
반응형

융 Jung의 심리 유형 이론

스위스의 정신의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융은 프로이트 심리학에 영향을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정신 현상을 성욕에 의해 설명하는 프로이트의 주장에 반대하였다. 북아메리카와 인도 등의 여러 나라를 여행하며 미개인들을 관찰하였고 그들의 집단생활을 살펴 '집단 무의식'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Jung 융은 자아 개인 무의식, 집단 무의식이 서로 교류하는 체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생에 걸친 연속적인 과정으로 성격이 발달한다고 하였다. 인간은 개성화 되는 과정에서 진정한 '나'를 찾는다는 것이다. 사람들 간의 상이성은 불규칙한 것이 아니라 유형이라는 패턴을 형성한다.

  • 인간은 근본이 다른 내부로부터 본능(충동)을 가진다.
  • 한 본능이 다른 본능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는 것은 아니다.
  • 추구하는 성향이 다를 뿐, 어느 것이 더 우수한 것은 없다.
  • 마음이 어떻게 기능 하는가를 결정하는 각자 선호성이 더 중요하다.
  • 인간은 이 선호에 따라 '유형화' 될 수 있다.
  • 융은 '기능유형'과 '심리유형'을 창안하였다.
  • 융의 심리유형은 질서 정연하고 일관된 경향이 있다는 데서 출발한다.
  • 인간 행동의 다양성은 개인의 인식과 판단하는 특징이 다르기 때문이다.
  • 인간의 행동이 다를 수밖에 없다.
  • 태도의 개인차, 선호하는 인식양식의 개인차, 선호하는 판단 양식의 개인차 모두 다 심리유형이다.

 

Jung 융의 8가지 심리유형

융의 심리유형론은 mbti의 바탕이 되었다. 각 개인이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인식 기능과 수집한 정보에 근거해서 결정을 내리는 판단 기능에 있어서 각 개인이 선호하는 방식이 다르다는 것을 근복적으로 나타낸다.

  1. 주기능 외향적 감각 : 에너지가 외부로 향함, 현재의 세부적이고 정확한 감각적 자료의 축적에 집중해서 정보를 획득함.
  2. 주기능 내향적 감각 : 에너지가 내부로 향함, 현실과 내적 생각 및 경험 모두에 대한 세부사항과 사실을 축적함.
  3. 주기능 외향적 직관 : 에너지가 외부로 향함, 새로운 생각과 흥미로운 양식 그리고 미래에 대한 가능성에 집중함.
  4. 주기능 내향적 직관 : 에너지가 내부로 향함, 무의식적 이미지와 관계성 그리고 내적 상상과 통찰을 만들어내는 방식에 집중함.
  5. 주기능 외향적 사고 : 명확하고 목적 지향적이며 단호한 행동을 적용함으로써 외부환경의 논리적인 질서를 추구함.
  6. 주기능 내향적 사고 : 내적인 논리 체계를 발전시키고 반영함으로써 내적 사고의 정확성과 질서를 추구함.
  7. 주기능 외향적 감정 : 타인의 요구와 자신의 가치를 맞추기 위해 환경을 조직하고 구성하며 조화를 추구함.
  8. 주기능 내향적 감정 : 자신의 감수성과 타인의 내적 가치 그리고 외적 행동의 의미와 복합적인 내적 조화를 심도 있게 추구함.

 

MBTI 개발

mbti는 사실 융이 개발한 것이 아니고 융의 저서를 읽고 그 심리유형을 바탕으로 이들이 개발하였다고 한다. 바로 캐서린 C. 브릭스와 이사벨 B. 마이어스이다. 이들은 부녀지간이며 아버지인 브릭스는 사람들 간의 개인차에 대한 관심과 융의 전기문을 통해 성격유형에 대한 개인적인 이론을 개발하였다. 4개의 심리유형을 발표하였고 20년간 융의 이론을 타당화하고 응용하는 데에 일생을 받쳐 연구하였다. 아버지의 연구를 이어 그의 딸 마이어스 또한 아버지와 함께 공동으로 융의 이론을 바탕하여 1943년부터 문항을 개발하였다. 선호 지표와 유형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문항을 개발하여 MBTI라는 이름으로 1962년 이 검사를 소개하였다. 이윽고 1975년 CPP에서 저작권을 인수하였고 전문가 교육을 통해 보급을 시작하게 되었다.

 

MBTI 수용

  1. 성격이 좋고 나쁜 것이 아니라 우리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인정.
  2. 변명이나 합리화를 위한 것이 아니라 성장을 위함.
  3. 창조의 공평성 : 누구에게나 장점 또는 단점이 있음.
  4. 비판과 판가름이 아니라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위함.
  5. 자신의 성격특성을 이해하고 자신이 선호하는 특성을 이해.
  6. 이를 통해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의 원활을 목적으로 한다.

 

MBTI 발전

  • 융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브릭스와 마이어스가 만든 자기보고형 검사
  • 1990 : 자서전 연구를 통해 성격분류를 시도
  • 1921 : 융의 심리유형 이론을 접하면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
  • 1942 : A형 개발
  • 1962 : 미국 ETS에 의해 F형 보급
  • 1975 : G형 개발
  • 1990 : 대한민국 심혜숙과 김정택이 G형을 표준화
  • 1992 : 한국심리유형학회
  • 2002 : G형을 세분화하여 MBTI K(구체적) 유형이 표준화
728x90
반응형